정책제주도 전입인구 특성 분석

  1. 개요
  2. ‘디지털 제주를 위한 개인단위 재현데이터 개발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주관)’ 과제를 통해 구축된 제주 전입인구데이터(재현데이터)를 분석 및 시각화
  1. 수행 기간
  2. 2019.05 ~ 2019.11 (7개월)
  1. KCB 사용정보
  2. 성별 연령 자택주소 소득

01.목적

2018년 이후 급증한 제주도 전출인구의 특성을 분석, 시각화하여 도내 인구 구조적 변화와 영향도 파악

02.분석결과

KCB 개인 마이크로*재현 데이터의 제주 전입전출 지역, 연령, 소득을 확인함.

*재현 데이터 : 실제 데이터의 분포를 분석, 이를 바탕으로 통계모형에 따라 원 데이터와 통계적으로 유사한 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식별 방법

제주 전체 전입 인구 전출 지역

No 지역 인구이동(명) 이동비율(%)
1 제주특별자치도 451,545 91.21
2 서울특별시 12,560 2.54
3 경기도 11,007 2.22
4 부산광역시 3,265 0.66
5 인천광역시 2,577 0.52
6 경상남도 2,550 0.52
7 대구광역시 1,568 0.32
8 경상북도 1,424 0.209
9 전라남도 1,226 0.25
10 광주광역시 1,200 0.24
11 충청남도 1,120 0.23
12 전라북도 1,108 0.22
13 강원도 989 0.20
14 울산광역시 931 0.19
15 충청북도 908 0.18
16 대전광역시 894 0.18
17 세종특별자치시 170 0.03
합계 495,042명 100.00%
  • 제주도민

    91.2%
  • 외지인

    8.8%

제주 전입 외지인 전출 지역

No 지역 인구이동(명) 이동비율(%)
1 서울특별시 12,560 28.88
2 경기도 11,007 25.31
3 부산광역시 3,265 7.51
4 인천광역시 2,577 5.92
5 경상남도 2,550 5.86
6 대구광역시 1,568 3.60
7 경상북도 1,424 3.27
8 전라남도 1,226 2.82
9 광주광역시 1,200 2.76
10 충청남도 1,120 2.57
11 전라북도 1,108 2.55
12 강원도 989 2.27
13 울산광역시 931 2.14
14 충청북도 908 2.09
15 대전광역시 894 2.06
16 세종특별자치시 170 0.39
합계 43,497명 100.00%
  • 수도권

    60.1%
  • 부경

    13.4%
  • 상위 5개

    73.5%

분석 결과 최근 2년간 전입(제주 시내 이동 포함) 이동 비율은 기존 제주 도민 이동91.2%로 가장 많았으며,
외지인의 전입전체 8.8%에 불과함.
그 중 외지인 전입73.5%수도권 지역(60.1%),
부경 지역(13.4%)으로 대부분을 차지

  • 1제주시 노형오거리 일대
  • 2구 제주시일대
  • 3제주시 아라1동 택지개발지구
  • 4제주시 화북동 삼화지구
  • 5구 서귀포시(중앙동, 정방동, 천지동) 지역
  • 6서귀포 신시가지(서귀포 제2청사) 지역
  • 7서귀포시 대정읍 영어교육도시
  • 8제주시 외도동 도·농복합주거 지역
구역 이주 비율
1지역 16.8%
2지역 11.9%
3지역 2.3%
4지역 1.2%
5지역 2.4%
6지역 2.6%
7지역 2..3%
8지역 3.4%
그 외 지역 57.1%

1km x 1km 격자 2,107개 중 서울 출신 이주민들은 총 502개(29.4%)의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그 중 42.9%8개 지역 28개 격자(1.4%)에 주로 거주

청년층 및 핵심 생산연령 인구인 20~40대의 전출 비중이 높아,
인구 구조적 측면에서 부정적인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큰 것으로 판단

Data For Communication